질문자께서는 여러 답변을 동시에 채택하실 수 있으니, 다른 좋은 답변들도 함께 채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질문자께서는 여러 답변을 동시에 채택하실 수 있으니, 다른 좋은 답변들도 함께 채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채택은 답변자들에게 큰 격려가 되며, 더 나은 답변을 위한 동기부여가 됩니다.
또한 답변을 채택해 주시면, 경제적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기부할 수 있게 됩니다.
제 답변이 도움이 되어 같이 채택된다면 보람입니다.
[설명]
[1] 반응식 : CH3COOH(aq) + NaOH(aq) ---> NaCl(aq) + H2O(l)
1 개(몰) : 1 개(몰) ---> 1 개(몰)
[2] 중화 관계식 : aMV = bMV(a=산의 가수=H+의 수=1, b = 염기의 가수=OH-의 수 =1)
그러므로 이온수(몰수) = 산, 염기의 농도(M) x 용액의 양(V) x산염기 가수(1)
[3] 식초 용액 1000 mL에는 식초 30 mL 가 포함됩니다, 밀도가 1 g/mL 이므로 용액 1L속에는 식초 30 g이 포함됩니다,
[4] 이 용액 1000mL중에서 20 mL를 취했으므로 1000 mL에는 식초 30 g
20 mL x g,
1000 : 30 = 20 : x, x= 30x20/1000 = 0.6 g
[5] CH3COOH(aq) + NaOH(aq) ---> NaCl(aq) + H2O(l)
0.6 g : 0.1M, 16.5 mL와 완전히 중화되므로
NaOH mol = MxV = 0.1x(20/1000)L = 0.002 mol
[6] 완전 중화에 필요한 CH3COOH : NaOH = 1 : 1 mol 로 반응하므로 필요한 CH3COOH =0.002
몰이므로 CH3COOH 60 g : 1 mol
x g : 0.002 mol, x= 60x0.002 = 0.12 g
[7] 중화반응에 사용된 식초는 0.6 g이므로 이속에 CH3COOH 0.12 g 이므로
아세트산 함량 = (0.12/0.6)x100 = 20%
답] 20 %